맨위로가기

오이타 트리니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이타 트리니타는 1999년 J리그에 가입한 일본의 축구 클럽으로, 주식회사 오이타 풋볼 클럽이 운영한다. 클럽명은 연고지인 오이타와 삼위일체를 뜻하는 영어 단어 'Trinity'를 조합하여 만들었으며, 팀 컬러는 녹색과 검정색이다. 1994년 창단 이후 J2리그 우승(2002년), J리그컵 우승(2008년), J3리그 우승(2016년) 등의 기록을 세웠다. 홈구장은 레조낙 돔 오이타이며, 유소년팀도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이타시의 스포츠 - 레조낙 돔 오이타
    레조낙 돔 오이타는 2002년 FIFA 월드컵 경기장으로, 튀니지-벨기에, 멕시코-이탈리아 조별 리그 경기와 스웨덴-세네갈 16강전 경기가 개최되었다.
  • 오이타 트리니타 - 가을하늘의 아지랑이
    가을하늘의 아지랑이는 1999년, 2000년, 2002년 J2리그 최종전에서 오이타 트리니타가 J1리그 승격에 실패한 아쉬운 결과를 보여준다.
  • 오이타 트리니타 - 레조낙 돔 오이타
    레조낙 돔 오이타는 2002년 FIFA 월드컵 경기장으로, 튀니지-벨기에, 멕시코-이탈리아 조별 리그 경기와 스웨덴-세네갈 16강전 경기가 개최되었다.
오이타 트리니타
기본 정보
클럽 이름오이타 트리니타
원어 이름大分トリニータ
영어 이름Oita Trinita
별칭트리니타 (Torinīta)
아추로 (Azūro)
카메나치오 (Kamenachio)
창단1994년 (오이타 트리니티)
홈 경기장레조나크 돔 오이타
위치오이타시, 오이타현
수용 인원40,000명
회장오자와 마사카제
감독카타노사카 토모히로
리그J2리그
시즌2024
순위J2 16위
현재 시즌J2리그
공식 웹사이트오이타 트리니타
구단 정보
법인명주식회사 오이타 풋볼 클럽
영문 법인명Oita Football Club Co.,Ltd.
창립일1999년 1월 7일
사업 내용축구 클럽 운영 등
대표이사오자와 마사카제
자본금4000만 엔 (2018년 1월 기준)
매출액10억 2300만 엔 (2018년 1월 기준)
영업이익9100만 엔 (2018년 1월 기준)
경상이익9400만 엔 (2018년 1월 기준)
순이익9400만 엔 (2018년 1월 기준)
순자산1억 7500만 엔 (2018년 1월 기준)
총자산3억 6700만 엔 (2018년 1월 기준)
결산기1월
주요 주주티케이피
오이타 상공회의소
오이타현 외
주요 관계자미조하타 히로시 (전 대표이사)
아오노 히로시 (전 대표이사)
에노키 토오루 (전 대표이사)
코노 타카키 (이사)
주소오이타현 오이타시 오아자 요코오 1629
우편번호870-0126
홈 유니폼
상의 패턴_oita trinita 2024 HOME FP
하의 패턴_oita trinita 2023 HOME FP
양말 패턴_oita trinita 2023 HOME FP
원정 유니폼
상의 패턴_oita trinita 2024 AWAY FP
하의 패턴_oita trinita 2023 AWAY FP
양말 패턴_oita trinita 2022 AWAY FP
색상
메인 색상파랑
노랑

2. 클럽 정보

주식회사 오이타 풋볼 클럽(大分フットボールクラブ)이 운영 법인이며[9], 1999년J리그에 가입했다.[9]

2006년, 클럽 약칭이 "오이타FC(大分FC)"에서 "FC오이타(FC大分)"로 변경되었으나, 운영 법인명과는 무관하다.

2019년 6월 21일, TKP가 운영 회사 주식의 20%를 취득하여 최대 주주가 되면서 자본 및 업무 제휴를 맺었다.[14]

2. 1. 클럽 명칭

클럽 이름 '트리니타(Trinita)'는 삼위일체(trinità)의 이탈리아어 번역과 연고지 오이타를 결합한 것이다.[2] 이는 지역 주민, 기업, 정부가 팀을 지원하려는 의지를 나타낸다.[9] 클럽 이름은 영어 "Trinity"(삼위일체)와 "오이타(Oita)"를 조합한 조어로, 이탈리아어 "Trinita"와 같은 철자를 사용한다.[13] 이는 현민, 기업, 행정이 일치단결하는 것을 의미한다.

2. 2. 엠블럼 및 마스코트

2006년, 엠블럼, 로고 마크, 팀 플래그가 "T플레어(Tフレアー)"라는 디자인 컨셉트에 따라 새롭게 바뀌었다.[9] 클럽 마스코트는 거북이를 모티브로 한 '''니탄(ニータン)'''[9]과, 토끼를 모티브로 한 준 마스코트 "리지(リッジー)"가 있다.

특정 경기에서 서포터들은 색깔이 있는 보드를 들어 콜레오그라피를 만들기도 한다.[137][138] 2008년 J리그컵 결승전에서도 보드를 들었다(사진 참조).

2. 3. 팀 컬러

팀 색상은 청색과 황색이다.[9]

3. 역사

오이타 트리니타는 1994년 창단되어 오이타 현 리그와 규슈 리그를 거쳐 1996년 전국 리그 준우승을 차지하며 일본풋볼리그(JFL)로 승격했다. 1999년 저작권 문제로 팀명을 '트리니타'로 변경하고 J2에 참가하여 2년 연속 3위를 기록했다. 2002년 J2 우승으로 J1으로 승격했다.

2008년 나비스코컵에서 우승하고 리그 4위를 기록했으나, 2009년 경영난으로 J리그 사무국에 자금 융자를 신청했고, 최종 순위 17위로 강등되었다. 경비 절감을 위해 주축 선수들을 모두 다른 팀으로 보내고 황보관 전 감독이 복귀했다.

2012년 J리그 사무국으로부터 융자받은 3억 엔을 모두 갚고 승격 플레이오프에 참가, 교토 상가 FC와 제프 유나이티드를 꺾고 4년 만에 J1으로 재승격했다. 그러나 2013년 J1에서 2승만을 거두며 최하위로 1년 만에 J2로 강등되었다.

2015년에는 J2 21위로 FC 마치다 젤비아와의 승강 플레이오프에서 패배, J3로 강등되었다. 이는 J리그 역사상 최초로 1부 리그를 경험한 팀이 3부 리그로 강등된 사례였다. 하지만 2016년 J3리그에서 우승하며 바로 J2리그로 승격했다. 2018년 J2리그 준우승을 차지하며 다시 J1리그로 승격했고, 2021년 18위로 J2리그로 강등되었다.

2021년 천황배 결승전에 진출, 가와사키 프론탈레를 준결승에서 승부차기로 꺾는 이변을 연출했지만, 결승에서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에 패했다. 2023 시즌에도 J2리그에서 경기를 치르고 있다.

2003년 J리그컵 교토전에서 로드리고의 비신사적인 득점 사건이 있었다.[139] 경기 재개 후 오이타 감독 고바야시 신지는 선수들에게 수비를 포기하도록 지시했고, 교토의 나카바라이 다이스케가 추가 득점하며 경기는 2-2 동점이 되었다.[11]

2007년, J1리그 18라운드 종료 시점에서 17위였던 오이타는 리그 후반 16경기를 "리벤지 16"으로 명명했다.[140] "리벤지 삼전사"로 스즈키 신고·호베르투·에지미우손을 영입하고, 심볼 캐릭터 "'''리지'''"를 등장시키는 등 다양한 기획을 통해[11] 시즌 14위로 J1리그 잔류를 달성했다.

2014년 창단 20주년을 맞이한 오이타는 특설 사이트를 개설하고,[145] 역대 베스트 일레븐 발표 등의 기획을 실시했다.[146]

3. 1. 창단 초기 (1994년 ~ 1998년)

1994년 4월, 오이타 트리니티는 사단법인 "오이타 풋볼 클럽"으로 발족했다.[9] 경기 등록상 팀명은 "오이타" 또는 "오이타 FC"였으며, "오이타 트리니티"라는 애칭이 사용되었다.[9] 오이타 현 사회인 축구 리그와 규슈 리그를 연이어 제패하고, 1996년 전국 지역 축구 챔피언스 리그에서 2위를 차지하며 발족 2년 만에 일본풋볼리그(JFL)로 승격했다.[9]

초기에는 문정식, 박경화 등 한국인 감독의 지휘 아래, 황보관, 최대식 등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 출신 선수들을 중심으로 팀이 운영되었다.

1998년에는 브라질 출신 감독 쉬쿠 포르미가를 영입하고, 외국인 선수로 윌을 영입했다. 1998년 JFL 마지막 시즌에는 6위를 기록했다.

3. 2. J2리그 시대 (1999년 ~ 2002년)

1999년 저작권 문제로 팀명을 현재의 오이타 트리니타로 변경하고 J2에 참가했다.[9] 첫해부터 J1 승격 경쟁에 뛰어들었으나, 1999년과 2000년 모두 2년 연속 2위와 승점 1점 차로 3위에 그쳐 승격에 실패했다.[9] 2001년에는 시즌 초반 부진으로 5월에 이시자키 노부히로 감독이 해임되고 코바야시 신지 감독이 부임했으나,[9] 최종전까지 승격 경쟁을 벌였음에도 6위에 머물렀다.

2002년에는 코바야시 감독 체제 하에 니시야마 테츠헤이, 우키 테츠로, 산드로, 안드라지냐 등을 영입,[9] 견고한 수비와 빠른 역습을 바탕으로 초반부터 선두를 질주하여 J2 우승과 함께 J1 승격을 달성했다. 또한 최종전에서 J2 통산 100승을 달성하는 기록도 세웠다.

3. 3. J1리그 시대 (2003년 ~ 2009년)

오이타 트리니타는 1999년 J2리그에 참가하여 2년 연속 3위를 기록한 뒤, 2002년 J2리그에서 우승하며 J1리그로 승격했다.

; 2003년

팀 슬로건은 '''움직임과 균형'''이었다.

고바야시 신지 감독 체제 3년 차이자 J1 승격 첫해였다. 알비렉스 니가타에서 테라카와 요시토를, 전년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득점왕 로드리고 등을 영입하며 전력을 보강했다. 수비는 어느 정도 효과를 보았지만, 로드리고는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활약을 보이다 시즌 중반에 팀을 떠났다. 전년도 팀 득점왕 안드라지냐 역시 득점을 올리지 못하고 시즌 중반에 홋카이도 콘사도레 삿포로로 이적했다. 공격수 부재로 인한 심각한 득점력 부족으로 팀은 부진에 빠졌다. 시즌 중반에 윌 등 많은 외국인 공격수를 영입했지만, 득점력 부족은 개선되지 않았다. 2nd 스테이지에서는 15경기에서 실점은 리그 최소인 16개였지만, 득점은 7개에 불과했다.

최종전에서 15위 베갈타 센다이와 맞붙었는데, 오이타가 승리하거나 무승부를 기록하면 잔류, 패배하면 센다이가 잔류하는 상황이었다. 경기에서 전반 15분 우메다 타카시의 골로 선제골을 넣었지만, 후반에 센다이에게 동점을 허용했다. 결국 1-1 무승부로 경기가 종료되었고, 연간 순위 14위(1st 스테이지 14위, 2nd 스테이지 16위)로 J1에 잔류했다. 시즌 종료 후 고바야시 감독은 물러났다.

2003년 기본 포메이션
style="position: relative;" |



; 2004년

팀 슬로건은 '''Perform & Enjoy'''였다.[15]

한 베르거 감독을 새롭게 맞이했다.[9] 테라카와 요시토가 알비렉스 니가타로 복귀했지만, 전 브라질 대표 마그노 아우베스, 전 네덜란드 대표 리차드 비투헤, 베갈타 센다이에서 네모토 유이치 등을 영입했다. 마그노 등 영입 선수들의 활약으로 1st 스테이지는 10위로 마쳤다.

하지만 2nd 스테이지 개막 전 비투헤가 팀을 떠나고, 1st 스테이지에서 활약한 키지마 료스케가 부상으로 이탈하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 긴급 영입으로 패트릭을 영입했지만, 2nd 스테이지는 2년 연속 최하위를 기록했다. 마그노가 11득점, 타카마쓰 다이키가 8득점을 기록했지만, 전반적인 득점력은 저조했고, 연간 순위는 13위에 그쳤다. 베르거 감독은 시즌 종료 후 사임했다.

2004년 기본 포메이션
style="position: relative;" |



; 2005년

팀 슬로건은 '''Together & Enjoy'''였다.

황보관이 헤드 코치에서 감독으로 승격했다.[9] 주장 산드로 차베스 데 아시스 로사가 팀을 떠났고, 세토 하루키, 야마자키 테츠야 등이 이적했다. 전 브라질 대표 도도, 우에모토 히로미 등을 영입하고, 신인 후카야 유키 등이 입단했다. 오이타 U-18에서 니시카와 슈사쿠, 우메자키 쓰카사가 승격했다.

하지만 도도는 15경기에서 3득점에 그치며 부진했고, 결국 시즌 중반에 에지미우손 아우베스, 투리오와 교체되어 팀을 떠났다. 오이타는 시즌 초반 하위권에 머물렀지만, 요시다 타카유키의 부상 복귀 이후 한때 8위까지 순위를 끌어올렸다. 그러나 비셀 고베와의 최하위 경쟁에서 밀리는 등 부진이 계속되자, 8월 28일 황보 감독을 경질하고 페리클레스 샤무스카 감독을 선임했다.[9]

샤무스카 감독은 첫 경기인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전을 승리로 이끌었고, 이후 6경기 무패(5승 1무)를 기록하며 빠르게 팀을 재정비했다. “남은 12경기에서 승점 18점”이라는 목표를 8경기(6승 1패 1무, 승점 19점) 만에 달성하며, 목표를 7위로 수정할 정도로 급격한 회복세를 보였다. 이 사건은 “샴스카 매직”으로 불렸다.[16] 11월 23일 세레소 오사카전에서 1-1 무승부를 거두며 J1 잔류를 확정 지었다. 최종 순위는 지난 3년간 최고 성적인 11위였다.

2005년 기본 포메이션
style="position: relative;" |



; 2006년

팀 슬로건은 '''도전과 도전'''이었다.[17]

샴스카 체제 2년 차였다. 오카나카 유토가 은퇴하고, 팀 득점왕 마그노 아우베스, 주장 요시다 타카유키 등 절반 가까운 선수가 이적하거나 전력 외로 분류되었다. 포르탈레자 EC에서 오즈마르, 가시와 레이솔에서 전 일본 대표 마스다 타다토시 등을 영입했다. 신인 다카하시 다이스케, 모리시게 마사토가 입단했고, 오이타 U-18에서 후쿠모토 요헤이, 카지와라 코가 승격했다.

초반에는 3연패를 당하는 등 부진했지만, 이후 컨디션을 회복하며 11차전 가시마 앤틀러스전부터 14차전 알비렉스 니가타전까지 4연승을 기록했다. 16차전 가와사키 프론탈레전부터 22차전 아비스파 후쿠오카전까지 7경기 무패를 기록했고, 21차전에는 리그 챔피언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에게서 승점을 따내는 등 6위까지 올라섰다. 시즌 전 목표를 “8위 이내”에서 “4위 이내”로 수정했고, 10월에 J1 잔류를 확정 지었다. 하지만 이후 3승 2무 7패로 부진하며 상금권인 7위 이내 진입에는 실패했지만, 당시 J1 최고 순위인 8위로 시즌을 마쳤다.

니시카와 슈사쿠, 우메자키 쓰카사, 타카마쓰 다이키가 일본 대표팀에 발탁되었고, 우메자키와 타카마쓰는 국제 A매치에도 출전했다.

2006년 기본 포메이션
style="position: relative;" |



; 2007년

팀 슬로건은 '''「도전과 투쟁」 도전과 투쟁'''이었다.[18]

샴스카 체제 3년 차였다. 에지미우손 아우베스, 투리오 루스토자 세이샤스 피네이로스가 팀을 떠났고, 우메자키 쓰카사가 그르노블로 임대 이적하는 등 7명의 선수가 팀을 떠났다. 주니오르 마라니옹, 미야자와 마사후미, 아우구스토, 키나자키 유메 등 8명의 선수가 새롭게 합류했다.

하지만 신인 마라니옹과 미야자와가 모두 선발 출전한 개막 2경기가 모두 패배로 끝나자, 미야자와는 3차전에서 선발에서 제외되었고, 마라니옹은 시즌 중반에 팀을 떠났다. 이후 후지타 요시아키 등 다양한 선수를 보란치로 기용했지만, 대량 실점으로 패하는 경기가 많았고, 13차전에는 최하위 요코하마 FC에게도 1-2로 패했다. 시즌 중반에 마에다 준스케(산프레체 히로시마에서 임대 이적), 우메자키(그르노블에서 복귀)가 합류했지만, 승점을 늘리지 못하고 전반기(18차전) 종료 시점에서 자동 강등권인 17위로 부진했다.

J1 잔류를 위해 후반기를 리벤지 16(リベンジ16)으로 명명하고, 알비렉스 니가타에서 스즈키 신고, 전 아비스파 후쿠오카 호베르토를 영입했다.

2007년 기본 포메이션
style="position: relative;" |



; 2008년

2008년, 오이타는 J리그컵에서 우승하며 야와타제철 SC가 1964년 천황배 전일본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공동 우승을 차지한 이후 규슈 지역 구단으로서는 처음으로 메이저 타이틀을 획득했다.[3] 리그에서도 4위를 기록하며 선전했다.

; 2009년

2009 시즌은 오이타의 J1리그 7년 역사상 최악의 시즌이었다. 리그 경기에서 14연패를 기록하는 등 골든골 제도가 폐지된 이후 J리그 최악의 기록을 경신했다. 7월 중순에는 J리그컵 우승 감독 페리클레스 샤무스카를 경질했다.[4] 10월 25일, 교토 상가 FC와 1-1 무승부를 기록하며 강등이 확정되었다. JFL 긴급 자금 대출금이 남아 있었고, 리그 규정상 이러한 대출금이 있는 구단은 1부 리그에 참가할 수 없었기 때문에 어차피 강등될 상황이었다.[5] 경영난으로 인해 J리그 사무국에 자금 융자를 신청했고, 주축 선수들을 모두 다른 팀으로 보내는 등 경비 절감에 나섰다. 부사장이었던 황보관 전 감독이 복귀하였다. 최종 순위는 17위였다.

3. 4. J2리그와 J3리그 강등 (2010년 ~ 2016년)

2009년 경영난으로 J리그 사무국으로부터 자금 융자를 받아 주축 선수들을 대거 방출하고 황보관 전 부사장이 감독으로 복귀하였다.[9] 2010년, 팀은 김보경의 활약에도 불구하고 J2 15위에 그쳤고, 황보관 감독이 사임했다.[22] 김보경은 2010년 FIFA 월드컵 대한민국 대표팀에 선발되어 오이타 소속 선수로는 최초로 월드컵에 출전했다.

2011년 타사카 카즈아키 감독이 부임하였고,[9] 김보경은 세레소 오사카로 복귀했다. 팀은 최정한 등 젊은 선수들을 기용하며 12위를 기록했다.[23] 2012년, 타사카 감독 체제에서 안정적인 경기력을 보이며 J1 승격 플레이오프에 진출, 교토 상가 FC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지바를 꺾고 4년 만에 J1으로 승격했다.[11]

연도대회순위경기득점실점승점비고
2010J2리그15위36101115414941
2011J2리그12위38121511424551
2012J2리그6위4221813594071J1 승격
2013J1리그18위342824318114J2 강등
2014J2리그7위42171213525563
2015J2리그21위4281420415138J3 강등
2016J3리그1위301947502461J2 승격



2013년 J1에서는 2승만을 거두며 최하위로 1년 만에 J2로 강등되었다.[6] 2015년에는 J2 21위로 FC 마치다 젤비아와의 승강 플레이오프에서 패배하여 J3로 강등되었다.[7] 이는 J리그 역사상 최초로 1부 리그를 경험한 팀이 3부 리그로 강등된 사례였다. 하지만 2016년 J3리그에서 우승하며 바로 J2리그로 승격했다.

3. 5. J1리그 재승격 및 강등 (2017년 ~ 2021년)

오이타 트리니타는 2016년 J3리그에서 우승하며 J2리그로 승격했다. 2018년 J2리그에서 준우승을 차지하며 J1리그로 재승격했으나, 2021년 J1리그에서 18위를 기록하며 다시 J2리그로 강등되었다. 같은 해 천황배 결승전에 진출하는 신데렐라 스토리를 썼다. 강등 확정 일주일 만에 천황배 우승팀 가와사키 프론탈레를 준결승에서 승부차기 끝에 4-5로 꺾는 이변을 연출했으나, 결승에서는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에 패하며 우라와에게 8번째 천황배 우승을 안겼다.

3. 6. 최근 (2022년~)

2021년 천황배에서 신데렐라 스토리를 쓰며 결승전에 진출, 비록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에 패했지만 강등의 아픔을 뒤로하고 준결승에서 가와사키 프론탈레를 승부차기 끝에 꺾는 저력을 보여주었다.[7] 2023 시즌에는 J2리그에서 2시즌 연속으로 경기를 치르고 있다.

4. 홈구장 및 훈련 시설

클라사스 돔 오이타 외관


오이타 스포츠 공원 종합 경기장(명명권 명칭: 클라사스 돔 오이타, 오이타시 요코오에 위치)이 홈구장이다.[9] 팀 창설 초기에는 오이타 시영 육상 경기장을 사용하다가 2001년부터는 클라사스 돔 오이타를 병행하여 사용했다.

주 훈련장은 오이타 스포츠 클럽과 레조낙 축구・럭비장이다.[9] 오이타 스포츠 공원 보조경기장에서도 훈련을 하는 경우가 있으며, 2002년경까지는 리버파크 이누카이 등 여러 지역의 그라운드를 전전하며 훈련했다.

4. 1. 홈구장

이 클럽의 홈구장은 레조낙 돔 오이타(Resonac Dome Oita)이며, "빅 아이"로도 알려져 있다. 2002년 FIFA 월드컵을 위해 건설된 경기장 중 하나이다.[9] 원래 수용 인원은 4만 3천 명이었으나, 2002년 FIFA 월드컵 이후 트랙에 있던 3천 개의 이동식 좌석이 제거되어 현재 수용 인원은 4만 명이다.

오이타 스포츠 공원 종합 경기장(명명권 명칭: 레조낙 돔 오이타, 오이타시 요코오에 위치)이 홈구장이다.[9] 팀 창설부터 2002년까지는 오이타 시영 육상 경기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했으며, 2001년 레조낙 돔 오이타 완공 후에도 병용하여 홈 게임을 개최했다. 트리니타가 J1에 승격한 2003년 이후로는 J1 개최 기준을 충족하지 못해 홈구장 등록에서 제외되었고, 이후 트리니타 주최의 공식전은 개최되지 않았다.[132] 그러나 2019년 레조낙 돔 오이타가 럭비 월드컵 경기장 중 하나로 사용됨에 따라 홈 게임 대체 경기장이 필요하게 되어 특례로 사용이 허가되었고, 2002년 이후 17년 만에 트리니타 주최 리그전 2경기를 개최했다.[133]

2007년까지는 쿠마모토현민 종합 운동공원 육상 경기장 (명명권 명칭: 에가오 건강 스타디움)에서 연 1~2회 홈 게임을 개최했다. 2007년 10월 20일에는 KK WING에서 13시부터 로소 쿠마모토(현: 로아쏘 구마모토) 경기, 19시 30분부터 트리니타 경기가 동일 날짜에 개최되었다. 2004년에는 낙뢰로 인해 경기가 중단되었는데, 이때 쿠마모토현민 종합 운동공원 실내 운동 광장 (파크 돔 쿠마모토) 남쪽 주차장이 침수되어 주차되어 있던 약 150대의 차량이 움직이지 못하게 되었다. 그런데 이 주차장은 원래 홍수를 막기 위해 빗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저수지였던 것으로 밝혀지면서, 나중에 트리니타의 보상 문제로 발전했다.

그 외에도 가고시마현립 가모이케 육상 경기장 (명명권 명칭: 시라나미 스타디움), 나가사키현립 종합 운동공원 육상 경기장 (명명권 명칭: 트랜스코스모스 스타디움 나가사키), 쿠마모토시 수젠지 경기장 등에서 과거에 주최 경기를 개최했지만, 2010년을 마지막으로 현외에서는 주최 경기가 개최되지 않고 있다.

클럽은 인접한 축구장과 럭비 경기장, 그리고 오이타 시 공공 구장에서 훈련한다.

4. 2. 훈련장

주 훈련장은 오이타 스포츠 클럽과 레조낙 축구・럭비장이다.[9] 오이타 스포츠 공원 보조경기장에서도 훈련을 하는 경우가 있다. 2002년경까지는 리버파크 이누카이 등 여러 지역의 그라운드를 전전하며 훈련했다.

5. 유니폼

페인트하우스(ペイントハウス)colspan="2" rowspan="20" |미도리우유(みどり牛乳)rowspan="18" |넥스트(NEXD)(SOPH.)rowspan="4" |rowspan="22" |푸마(PUMA)1999페인트하우스(ペイントハウス)페인트하우스(PAINT HOUSE)200020012002코카콜라(Coca Cola)소프(SOPH.)(http://www.soph.net/)2003펜타(ペンタ)
사토베넥(さとうベネック)2004펜타(ペンタ) /
트라이벌킥스(Tribalkicks)2005- /
마루한(MARUHAN)조이풀(Joyfull)2006마루한(MARUHAN)BOWS[136]조이풀(Joyfull)코카콜라(Coca Cola)2007-2008오메가 프로젝트(オメガ・プロジェクト)2009- /
포리프(FOURLEAF)넷원 시스템즈(Net One Systems)2010-넷원 시스템즈(Net One Systems)- /
코유(KOYOU)2011다이하쓰규슈(ダイハツ九州)코유(KOYOU)20122013다이하츠(ダイハツ)
넷원 시스템즈(Net One Systems) /
넷원(net one)2014넷원(net one)제이리스(ジェイリース)미도리우유(みどり牛乳)20152016제이리스(ジェイリース)오이타고도신문(大分合同新聞)오이타은행(OITA BANK)2017다이하쓰규슈(ダイハツ九州)2018-2019미도리우유(みどり牛乳)

5. 1. 유니폼 디자인

리미티드2021
리미티드2022
리미티드2023
리미티드----------------------------------------


5. 2. 유니폼 스폰서

2020년 - 2022년은 「SHOWA DENKO」 표기등 상부[https://sg-ne.jp/ 시라이시(白石)]SHIRAISHI2024년 3월 -등 하부없음--소매티케이피(ティーケーピー)TKP2023년 5월 -바지 앞면넷원시스템즈(ネットワンシステムズ)net one2019년 - 2020년, 2022년 -2009년 소매, 2010년 - 2015년 등 상부, 2021년 바지 뒷면
2009년 - 2013년 중반까지 「Net One Systems」 표기바지 뒷면[https://aru.inc/ ARU]ARU2024년 8월 -



년도위치스폰서
가슴쇄골 왼쪽쇄골 오른쪽등 상부등 하부소매바지 앞면바지 뒷면
1998아사히 솔라(朝日ソーラー) /
페인트하우스(ペイントハウス)
해금 전미도리우유(みどり牛乳)해금 전넥스트(NEXD)(SOPH.)-해금 전푸마(PUMA)
1999페인트하우스(ペイントハウス)페인트하우스(PAINT HOUSE)
2000
2001
2002코카콜라(Coca Cola)소프(SOPH.)(http://www.soph.net/)
2003펜타(ペンタ)사토베넥(さとうベネック)
2004펜타(ペンタ) /
트라이벌킥스(Tribalkicks)
2005- /
마루한(MARUHAN)
조이풀(Joyfull)
2006마루한(MARUHAN)BOWS[136]조이풀(Joyfull)코카콜라(Coca Cola)
2007-
2008오메가 프로젝트(オメガ・プロジェクト)
2009- /
포리프(FOURLEAF)
넷원 시스템즈(Net One Systems)
2010-넷원 시스템즈(Net One Systems)- /
코유(KOYOU)
2011다이하쓰규슈(ダイハツ九州)코유(KOYOU)
2012
2013다이하쓰(ダイハツ)
넷원 시스템즈(Net One Systems) /
넷원(net one)
2014넷원(net one)제이리스(ジェイリース)미도리우유(みどり牛乳)
2015
2016제이리스(ジェイリース)오이타고도신문(大分合同新聞)오이타은행(OITA BANK)
2017다이하쓰규슈(ダイハツ九州)
2018-
2019미도리우유(みどり牛乳)

6. 선수단

오이타 트리니타는 현재 선수 명단과 더불어, 과거부터 팀을 거쳐간 주요 선수들로 구성된다.

2024년 8월 16일 기준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8]

번호포지션이름국적
1GK슈교 도모히토일본
2DF야마구치 다카히로일본
3DF구로키 쿄헤이일본
4DF다케우치 아키라일본
5DF스즈키 요시노리일본
6DF후쿠모리 나오야일본
7MF마쓰모토 레이일본
8MF황성수북한
9FW고토 유스케일본
10MF시키뇨브라질
11FW하야시 요헤이일본
14DF기시다 쇼헤이일본
15MF기요모토 다쿠미일본
17MF코쿠부 신타로일본
18FW이사 고헤이일본
19FW오쓰 요세이일본
20MF고테가와 고키일본
21GK가미후쿠모토 나오토일본
24MF히메노 유야일본
25DF사토 코요일본
27FW미쓰히라 가즈시일본
28MF사카이 다이스케일본
29DF이와타 도모키일본
30FW요시히라 쓰바사일본
31GK다카기 슌일본
35DF사카이 다쓰야일본
42DF도키다 마사토일본
48FW가와니시 쇼타일본
2DF가가와 유키일본
3DF데를란브라질
4DF사츠카와 아츠키일본
5MF나카가와 히로토일본
6MF유미바 마사키일본
7MF우메사키 츠카사일본
8MF마치다 야마토일본
9FW사무엘브라질
10MF노무라 나오키일본
11FW와타나베 아라타일본
13FW이사 고헤이일본
14MF이케다 렌일본
15FW야시키 유세이일본
16MF시게 타이라일본
17DF하네다 켄토일본
18MF노다케 준야일본
19MF코자카이 아라타일본
20FW키모토 타이가일본
21FW아유카와 슌일본
22GK문경건대한민국
23DF오노 슌스케일본
24GK니시카와 코노스케일본
25DF안도 토모야일본
26MF야스다 켄신일본
27DF마츠오 유스케일본
29FW우츠모토 신야일본
30DF타카하시 유쇼일본
31DF페레이라브라질
32GK하마다 타로일본
33DF미야카와 아유키 DSP일본
34DF후지와라 유다이일본
35MF사토 조세이일본
36MF마츠오카 하야토일본
37MF키모토 마나토 DSP일본
39FW우도 슈토 DSP일본
41FW김현우대한민국
42MF오노 세이류 Type 2일본
43DF야노 소하 Type 2일본
44DF요시다 마나토일본
48GK코노 히로토 Type 2일본
93FW나가사와 슌일본
99FW타카하시 다이고일본



역대 클럽 주장은 다음과 같다.

취임 년도이름
1999최대우
2000가타노사카 토모히로
2002–2003우키 테츠로
2004산드루
2005요시다 타카유키
2006–2007미키 타카시
2008–2010타카마쓰 다이키
2011–2013미야자와 마사시
2014타카기 카즈미치
2015다니엘
2016–2017야마기시 사토루
2018년 1월 – 8월타케우치 아키라
2018년 8월 – 12월바바 켄지
2019–2020스즈키 요시노리
2021타카기 준
2022시모다 호쿠토
2023우메사키 쓰카사
2024–현재와타나베 아라타



오이타 트리니타에서 활약했던 주요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

리그수상연도선수
J1리그우수 선수상2005년마그노 아우베스
우수 선수상2006년니시카와 슈사쿠(西川周作)
우수 선수상2008년에지미우손
카나자키 유메오(金崎夢生)
니시카와 슈사쿠(西川周作)
호베르토
모리시게 마사토(森重真人)
우수 신인상2005년니시카와 슈사쿠(西川周作)
페어플레이 개인상2006년네모토 유이치(根本裕一)
J2리그득점왕1999년칸노 타쿠야(神野卓哉) (19득점)
J2 Exciting 22[85]2011년마에다 슌스케(前田俊介)
2012년미야히라 타이지(三平和司)
2014년타메다 다이키(為田大貴)
J3리그MY 어워즈 베스트 일레븐[86]2016년카미후쿠모토 나오토(上福元直人)
키요모토 타쿠미(清本拓己)
고토 유스케(後藤優介)
스즈키 요시노리(鈴木義宜)
다니엘
후쿠모리 나오야(福森直也)
마츠모토 마사야(松本昌也)
야마기시 사토시(山岸智)
MY 어워즈 MVP[86]2016년고토 유스케(後藤優介)
J리그컵MVP2008년타카마츠 다이키(高松大樹)
뉴 히어로상2008년카나자키 유메오(金崎夢生)


6. 1. 현재 선수 명단

2024년 8월 16일 기준 오이타 트리니타의 현재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8]

번호포지션이름국적
1GK슈교 도모히토일본
2DF야마구치 다카히로일본
3DF구로키 쿄헤이일본
4DF다케우치 아키라일본
5DF스즈키 요시노리일본
6DF후쿠모리 나오야일본
7MF마쓰모토 레이일본
8MF황성수북한
9FW고토 유스케일본
10MF시키뇨브라질
11FW하야시 요헤이일본
14DF기시다 쇼헤이일본
15MF기요모토 다쿠미일본
17MF코쿠부 신타로일본
18FW이사 고헤이일본
19FW오쓰 요세이일본
20MF고테가와 고키일본
21GK가미후쿠모토 나오토일본
24MF히메노 유야일본
25DF사토 코요일본
27FW미쓰히라 가즈시일본
28MF사카이 다이스케일본
29DF이와타 도모키일본
30FW요시히라 쓰바사일본
31GK다카기 슌일본
35DF사카이 다쓰야일본
42DF도키다 마사토일본
48FW가와니시 쇼타일본
2DF가가와 유키일본
3DF데를란브라질
4DF사츠카와 아츠키일본
5MF나카가와 히로토일본
6MF유미바 마사키일본
7MF우메사키 츠카사일본
8MF마치다 야마토일본
9FW사무엘브라질
10MF노무라 나오키일본
11FW와타나베 아라타일본
13FW이사 고헤이일본
14MF이케다 렌일본
15FW야시키 유세이일본
16MF시게 타이라일본
17DF하네다 켄토일본
18MF노다케 준야일본
19MF코자카이 아라타일본
20FW키모토 타이가일본
21FW아유카와 슌일본
22GK문경건대한민국
23DF오노 슌스케일본
24GK니시카와 코노스케일본
25DF안도 토모야일본
26MF야스다 켄신일본
27DF마츠오 유스케일본
29FW우츠모토 신야일본
30DF타카하시 유쇼일본
31DF페레이라브라질
32GK하마다 타로일본
33DF미야카와 아유키 DSP일본
34DF후지와라 유다이일본
35MF사토 조세이일본
36MF마츠오카 하야토일본
37MF키모토 마나토 DSP일본
39FW우도 슈토 DSP일본
41FW김현우대한민국
42MF오노 세이류 Type 2일본
43DF야노 소하 Type 2일본
44DF요시다 마나토일본
48GK코노 히로토 Type 2일본
93FW나가사와 슌일본
99FW타카하시 다이고일본


6. 2. 클럽 주장

취임 년도이름
1999최대우
2000가타노사카 토모히로
2002–2003우키 테츠로
2004산드루
2005요시다 타카유키
2006–2007미키 타카시
2008–2010타카마쓰 다이키
2011–2013미야자와 마사시
2014타카기 카즈미치
2015다니엘
2016–2017야마기시 사토루
2018년 1월 – 8월타케우치 아키라
2018년 8월 – 12월바바 켄지
2019–2020스즈키 요시노리
2021타카기 준
2022시모다 호쿠토
2023우메사키 쓰카사
2024–현재와타나베 아라타


6. 3. 주요 선수

리그수상연도선수
J1리그우수 선수상2005년마그노 아우베스
우수 선수상2006년니시카와 슈사쿠(西川周作)
우수 선수상2008년에지미우손
카나자키 유메오(金崎夢生)
니시카와 슈사쿠(西川周作)
호베르토
모리시게 마사토(森重真人)
우수 신인상2005년니시카와 슈사쿠(西川周作)
페어플레이 개인상2006년네모토 유이치(根本裕一)
J2리그득점왕1999년칸노 타쿠야(神野卓哉) (19득점)
J2 Exciting 22[85]2011년마에다 슌스케(前田俊介)
2012년미야히라 타이지(三平和司)
2014년타메다 다이키(為田大貴)
J3리그MY 어워즈 베스트 일레븐[86]2016년카미후쿠모토 나오토(上福元直人)
키요모토 타쿠미(清本拓己)
고토 유스케(後藤優介)
스즈키 요시노리(鈴木義宜)
다니엘
후쿠모리 나오야(福森直也)
마츠모토 마사야(松本昌也)
야마기시 사토시(山岸智)
MY 어워즈 MVP[86]2016년고토 유스케(後藤優介)
J리그컵MVP2008년타카마츠 다이키(高松大樹)
뉴 히어로상2008년카나자키 유메오(金崎夢生)


7. 클럽 스태프

오이타 트리니타의 코칭 스태프는 다음과 같다.[8]


  • 코치: 야마자키 마사토, 이시바시 마사카즈, 요시무라 코우지
  • 골키퍼 코치: 야마자키 테츠야, 스즈이 토모히코, 나카무라 아루
  • 피지컬 코치: 슈토 케이스케, 요시다 유키, 무라타 카즈히로, 황보관


과거 클럽의 스타디움 DJ는 다음과 같다.

  • MC MAX
  • TOM G (2002년 ~ 2009년)
  • 유키 a.k.a. 지구 (2010년 ~ 2016년)
  • 아카마츠 다이
  • 오오노 타카시
  • 타치카와 아사코
  • 후카마치 에리
  • 혼죠 미와

7. 1. 감독

감독임기
문정식1994년 ~ 1996년
황보관2005년, 2010년 ~ 2011년
이시자키 노부히로1999년 2월 1일 ~ 2001년 4월 30일
고바야시 신지2001년 5월 1일 ~ 2004년 1월 31일
한 베르허2004년 2월 1일 ~ 2005년 1월 31일
아리에 샨스2005년 9월 1일 ~ 2005년 9월 8일
페리클레스 카무스카2005년 9월 9일 ~ 2009년 7월 13일
란코 포포비치2009년 8월 1일 ~ 2009년 12월 31일
타사카 가즈아키2011년 2월 1일 ~ 2015년 6월 2일
야나기다 노부아키2015년 6월 1일 ~ 2016년 1월 3일
카타노사카 토모히로2016년 2월 1일 ~ 2022년 1월 31일, 2023년 11월 30일 ~
시모타이라 타카히로2022년 2월 1일 ~ 2023년 11월 10일


7. 2. 코칭 스태프

{

직책이름
감독
코치 야마자키 마사토
코치 이시바시 마사카즈
코치 요시무라 코우지
골키퍼 코치 야마자키 테츠야
골키퍼 코치 스즈이 토모히코
골키퍼 코치 나카무라 아루
피지컬 코치 슈토 케이스케
피지컬 코치 요시다 유키
피지컬 코치 무라타 카즈히로
피지컬 코치 황보관
팀 닥터
수석 트레이너
트레이너
트레이너
장비 담당
장비 담당 보조
강화부장
부단장
매니저
통역
통역

[8]

8. 역대 감독

감독국적재임 기간
문정식1994년 2월 1일 ~ 1997년 1월 31일
이시자키 노부히로1999년 2월 1일 ~ 2001년 4월 30일
고바야시 신지2001년 5월 1일 ~ 2004년 1월 31일
한 베르허2004년 2월 1일 ~ 2005년 1월 31일
황보관2005년 2월 1일 ~ 2005년 8월 28일
아리에 샨스2005년 9월 1일 ~ 2005년 9월 8일
페리클레스 카무스카2005년 9월 9일 ~ 2009년 7월 13일
란코 포포비치2009년 8월 1일 ~ 2009년 12월 31일
황보관2010년 2월 1일 ~ 2011년 1월 31일
타사카 가즈아키2011년 2월 1일 ~ 2015년 6월 2일
야나기다 노부아키2015년 6월 1일 ~ 2016년 1월 3일
카타노사카 토모히로2016년 2월 1일 ~ 2022년 1월 31일
시모타이라 타카히로2022년 2월 1일 ~ 2023년 11월 10일
카타노사카 토모히로 (2)2023년 11월 30일 ~


9. 성적

오이타 트리니타는 2008년 J리그컵에서 우승하며 규슈 지역 구단으로는 야와타제철 SC가 1964년 천황배 전일본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공동 우승한 이후 처음으로 메이저 타이틀을 획득했다.[3] 2021년에는 천황배 결승전에 진출하여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에 패하며 준우승에 그쳤지만, 강등이 확정된 지 불과 1주일 만에 가와사키 프론탈레를 준결승에서 승부차기 끝에 꺾는 이변을 연출하기도 했다.[3]

9. 1. J리그

시즌리그팀 수순위경기 수(연장승)(연장패)득점실점득실차승점평균 관중J리그컵천황배
1999년J2103위3618 (3)38 (4)624220633,8862라운드3라운드
2000년113위4026 (0)38 (3)803842814,8181라운드3라운드
2001년126위4424 (1)49 (6)755223786,6382라운드3라운드
2002년121위44281066734339412,349참가 자격 없음4라운드
2003년J11614위30511142737-102621,373조별 리그3라운드
2004년1613위3086163556-213021,889조별 리그5라운드
2005년1811위3412715444314322,080조별 리그5라운드
2006년188위3413813474524720,350조별 리그5라운드
2007년1814위34125174260-184119,759조별 리그5라운드
2008년184위3416810332495620,322우승|4라운드
2009년1817위3486202645-193018,428조별 리그3라운드
2010년J21915위361011153949-104110,463참가 자격 없음3라운드
2011년2012위381214124245-3508,7792라운드
2012년226위4221813594019719,7212라운드
2013년J11818위3428243167-361411,915조별 리그8강
2014년J2227위421712135255-3638,422참가 자격 없음3라운드
2015년2221위42814204151-10387,5333라운드
2016년J3161위301947502426617,7713라운드
2017년J2229위4217131258508648,0633라운드
2018년222위4223712765125768,9072라운드
2019년J1189위34121111353504715,347조별 리그8강
2020년 1811위341110133645-9435,147조별 리그자격 없음
2021년 2018위3898213155-24356,722조별 리그준우승
2022년J2225위42171510625210666,618조별 리그3라운드
2023년229위421711145456-2629,143참가 자격 없음2라운드
2024년2016위381013153347-144310,3601라운드16강
2025년20미정38미정미정


9. 2. 컵 대회

시즌J리그컵천황배
1999년2라운드3라운드
2000년1라운드3라운드
2001년2라운드3라운드
2002년참가 자격 없음4라운드
2003년조별 리그3라운드
2004년조별 리그5라운드
2005년조별 리그5라운드
2006년조별 리그5라운드
2007년조별 리그5라운드
2008년우승4라운드
2009년조별 리그3라운드
2010년참가 자격 없음3라운드
2011년2라운드
2012년2라운드
2013년조별 리그8강
2014년참가 자격 없음3라운드
2015년3라운드
2016년3라운드
2017년3라운드
2018년2라운드
2019년조별 리그8강
2020년조별 리그자격 없음
2021년조별 리그준우승
2022년조별 리그3라운드
2023년참가 자격 없음2라운드
2024년1라운드16강
2025년미정미정



오이타 트리니타는 2008년 J리그컵에서 우승하며 규슈 지역 구단으로는 야와타제철 SC가 1964년 천황배 전일본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공동 우승한 이후 처음으로 메이저 타이틀을 획득했다.[3] 2021년에는 천황배 결승전에 진출하는 신데렐라 스토리를 썼다. 비록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에 패하며 준우승에 그쳤지만, 강등이 확정된 지 불과 1주일 만에 가와사키 프론탈레를 준결승에서 승부차기 끝에 꺾는 이변을 연출했다.[3]

10. 우승 기록

대회횟수년도
규슈 축구 리그11995년
J2리그12002년
J리그 컵12008년 J리그 컵
J3리그12016년


11. 클럽 관련 기록

횟수연도
J리그 페어플레이상 고잔궁배1회2020년
J1 페어플레이상3회2019년, 2020년, 2021년[9]
J2 페어플레이상3회2017년, 2018년, 2022년[9]
J3 페어플레이상1회2016년[9]


11. 1. 리그 기록

리그최고 순위최저 순위기타 기록
J1리그4위 (2008년)18위 (2013년, 2021년)
J2리그1위 (2002년)21위 (2015년)
J3리그1위 (2016년)


11. 2. 득점 관련 기록

홈 9실점 (1경기 평균 0.529점), 원정 15실점 (1경기 평균 0.882점)
리그전 연간 무실점 경기 수34경기 중 17경기 (2008년)


11. 3. 시즌별 최다 득점자

김보경82011 모리시마 야스히토112012 미야마 히라시
모리시마 야스히토142013J1 모리시마 야스히토72014J2 하야시 요헤이72015 타메다 다이키62016J3 고토 유스케142017J2172018 바바 켄지
후지모토 노리아키122019J1 오나이우 아도102020 타나카 타츠야82021 마치다 야마토82022J2 나가사와 슌8


12. 유소년팀

오이타 트리니타는 U-12, U-15, U-18 각 연령대의 유소년팀을 운영하고 있으며, U-15는 우사시(宇佐市)를 거점으로 하는 팀도 두고 있다.

또한, 장래 일본 여자 축구 리그 참가를 목표로 2007년 4월 여자 축구팀 오이타 트리니타 레이디스(大分トリニータレディース)를 창설했다. 2006년 10월 첫 선수 선발전을 통해 30명의 선수를 선발했으며, 2007년 오이타현 여자 축구 리그 및 규슈 각현 여자 리그 결승 대회에서 우승하며 2008년부터 규슈 여자 축구 리그에 소속되어 있다.

12. 1. 유소년팀 현황

U-12, U-15, U-18 각 연령대의 팀을 보유하고 있으며, U-15는 우사시(宇佐市)를 거점으로 하는 팀도 보유하고 있다.

오이타 U-18은 2013년 프린스리그 규슈 1부에서 첫 우승을 차지했다. 프리미어리그 진출전에 나섰지만, 아이치 FC U-18에 패하여 진출은 무산되었다. 이듬해인 2014년, 프린스리그 규슈에서 연패를 달성하고, 이 해의 진출전에서 오타니 무로란 고등학교, 요나고키타 고등학교를 꺾고 2015 시즌부터 프리미어리그 WEST로 승격이 확정되었다. 2015년에는 3위를 차지했지만, 다음 해인 2016년에는 리그 최하위를 기록하며 프린스 규슈로 강등되었다.

일본 클럽 유스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의 최고 성적은 2012년, 2014년, 2018년, 2019년의 16강이며, J유스컵에서의 최고 성적은 2015년의 4강이다. 천황배에는 과거 4회 출전한 기록이 있지만, 제95회 대회부터 규정이 개정되어 2종 등록팀의 참가 자격이 없어졌기 때문에 현재는 출전 불가능하다.[129]

'''수상'''

연도대회선수기록
2011년프린스리그 규슈 1부 최다 득점고토 유스케|고토 유스케일본어21득점[130]
2010년프린스리그 규슈 1부 최다 어시스트카쿠노 쇼타|가쿠노 쇼타일본어5어시스트[131]


12. 2. 유소년팀 출신 주요 선수

선수포지션주요 경력
니시카와 슌사쿠골키퍼일본 국가대표
마쓰바라 겐수비수일본 국가대표
다카하타 다케시수비수가와사키 프론탈레
기요모토 히로시미드필더일본 국가대표
마쓰모토 레이미드필더요코하마 F. 마리노스
가메가와 마사시수비수아비스파 후쿠오카
이와타 도모키수비수요코하마 F. 마리노스
고테가와 고야미드필더세레소 오사카
후카자와 유야미드필더FC 오사카
노나카 유세이미드필더반라우레 하치노헤
고토 유스케공격수시미즈 에스펄스
기사키 유헤이공격수미토 홀리호크
후지모토 노리아키공격수비셀 고베
히가시 게이고미드필더FC 도쿄



오이타 트리니타 U-18일본어2013년 프린스리그 규슈 1부에서 첫 우승을 차지했다. 프리미어리그 진출전에서는 아이치 FC U-18에 패하며 진출이 무산되었다. 2014년에는 프린스리그 규슈에서 연패를 달성했고, 진출전에서 오타니 무로란 고등학교와 요나고키타 고등학교를 꺾고 2015 시즌부터 프리미어리그 WEST로 승격했다. 2015년 3위를 기록했으나, 2016년 리그 최하위를 기록하며 프린스 규슈로 강등되었다.

일본 클럽 유스 축구 선수권 대회 최고 성적은 2012년, 2014년, 2018년, 2019년 16강이며, J유스컵 최고 성적은 2015년 4강이다. 천황배에는 과거 4회 출전했으나, 제95회 대회부터 규정이 바뀌어 2종 등록팀은 참가할 수 없게 되어 현재는 출전할 수 없다.[129]

13. 경영 문제

1999년 페인트하우스가 최대 주주로서 오이타 FC 경영에 참여[87]하였으나, 페인트하우스의 경영 실패와 사카나카 아키오의 관여로 인해 페인트하우스와 오이타 FC의 경영이 악화되었다. 2019년 코로나19 사태의 영향으로 2020년도 경기장 입장객 수가 크게 감소하여 클럽 경영에 큰 타격을 주었으며, 스폰서 영업도 어려운 상황이 계속되어 유니폼 스폰서 로고 부착 공간에 공백이 발생했다.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2021년 4월 9일부터 5월 16일까지 크라우드 펀딩 '''#오이타 트리니타 일치단결 프로젝트 ~모두의 마음을 피치로~'''를 실시했다.[124] 당초 목표 금액은 5,000만 엔이었으며, 목표 달성 시 유니폼 쇄골 왼쪽 부분에 해당 프로젝트 로고를 부착하기로 했다. 4월 30일에 목표 금액을 달성한 후, "NEXT GOAL"로 설정한 8,000만 엔을 넘어 최종적으로 88968000JPY의 지원금을 모았다.[125] 프로젝트 기간 중 최대 주주인 TKP(티케이피)가 당초 프로젝트 로고 부착 예정이었던 쇄골 왼쪽 부분의 스폰서 계약을 체결했기 때문에 로고 부착 위치가 가슴 상단 중앙으로 변경되었다.[126]

13. 1. 재정 위기

1999년, 페인트하우스가 최대 주주로서 오이타 FC 경영에 참여했다.[87] 그러나 페인트하우스의 경영 실패와 사카나카 아키오의 관여로 페인트하우스와 오이타 FC의 경영이 악화되었다.

2004년, 페인트하우스가 후원을 철회하며 오이타 FC는 경영난에 빠졌다. 2005년 9월 기준, 7억 2,500만 엔의 누적 적자와 3억 4,400만 엔의 부채초과 상태였다.[88] 코무로 테츠야 관련 회사의 스폰서료 체납 문제도 발생했다.[89] 오이타 FC는 오이타현 관련 단체에서 2억 엔을 융자받고, 마루한(マルハン)의 스폰서십으로 자금난을 일시적으로 극복했다.

2006년 12월, J리그의 파칭코 업계 스폰서십 제한 방침에 따라,[90] 마루한은 "스페셜 스폰서"로 지원을 계속했다. 2009년 9월, 마루한은 스폰서십을 완전히 철회했고,[90][91][92] 다른 스폰서들도 경영난 등으로 철회하며[93] 오이타 FC는 다시 위기를 맞았다.

2009년 1월 기준, 누적 적자 11억 엔, 부채 초과액 5억 5,800만 엔[95]으로 운영비가 부족해 J리그에 긴급 자금 지원을 신청,[97] 총 6억 엔을 지원받았다.[99] 오이타 FC는 경영 재건 계획을 제출했지만, J리그는 추가 지원을 보류했다. 오이타현과 지역 기업들은 "오이타 트리니타를 지지하는 현민 회의"를 발족하고,[104] 모금 활동을 했다.[105]

2010년 1월, J리그는 수정된 계획을 바탕으로 추가 지원을 결정,[107] 오이타현은 오이타은행 돔 사용료 전액 면제 등 지원을 계속했다.[109] 2010년 5월, 오이타 상공 회의소가 최대 주주가 되었다.[112][113][114]

2011년, 다이하츠 큐슈가 가슴 스폰서가 되었다.[115] 오이타 FC는 추가 지원을 받았고,[116] 2012년 J리그 지원금 일부를 상환했다.[117] 시민 기부, 지역 경제계와 행정 지원으로 J리그 지원금을 완납했다.[119]

2019년 6월, TKP와 큐슈 유업이 최대 주주가 되었다.[120][121] 2020년, 코로나19 영향으로 경영난을 겪었고, 크라우드 펀딩으로 88968000JPY의 지원금을 모았다.[124][125]

13. 2. 스폰서 변화

2004년, 창단 이래 유니폼 스폰서를 맡았던 페인트하우스(ペイントハウス)가 시즌 중반에 후원을 철회하면서 오이타 트리니타는 경영난에 빠졌다. 2005년 9월에는 7억 2,500만 엔의 누적 적자와 3억 4,400만 엔의 부채초과 상태에 놓였다.[88] 또한, 페인트하우스를 대신해 유니폼 스폰서가 된 트라이벌 킥스(トライバルキックス)의 스폰서료 체납 사실도 드러났다.[89]

오이타 FC는 오이타현 등으로부터 융자를 받고, 파칭코 회사 마루한(マルハン)의 지원을 받아 자금난을 극복했다. 그러나 J리그는 파칭코 업계 스폰서에 대한 규제 방침을 제시했고,[90] 마루한은 "스페셜 스폰서"로 지원을 계속했다.

2009년, 마루한이 스폰서십을 철회하고,[90][91][92] 다른 스폰서들도 경영난 등으로 철회하면서[93] 오이타 FC는 다시 경영 위기에 직면했다. 누적 적자는 11억 엔을 넘었고,[95] J리그로부터 긴급 자금 지원을 받았다.[97]

2010년, 오이타 FC는 J리그의 추가 자금 지원을 받기 위해 운영 예산을 삭감하는 등 자구 노력을 기울였다. 오이타현과 지역 기업들은 "오이타 트리니타를 지지하는 현민 회의"를 발족하고 팀 지원에 나섰다.[104]

2011년, 다이하츠 큐슈(ダイハツ九州)가 가슴 스폰서가 되었다.[115]

2012년, 오이타 FC는 J리그 지원금 상환을 위해 시민 기부 캠페인을 벌여 목표액을 달성하고,[118] 10월에 지원금을 완납했다.[119]

2019년, 대형 대여 회의실 업체 TKP가 오이타 FC의 주식 20%를 취득하여 최대 주주가 되고 자본·업무 제휴를 맺었다.[120][121]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경기장 입장객 수가 급감하고 스폰서 영업이 어려워지면서 클럽 경영이 악화되었다. 2021년, 오이타 FC는 크라우드 펀딩을 통해 팬들의 지원을 받아 유니폼에 로고를 부착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했다.[124]

14. 기타 정보

오이타 트리니타의 연도별 성적 및 입장자 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오이타 트리니타의 연도별 성적 일람#연도별 입장자 수를 참조하면 된다.

14. 1. 미디어

14. 2. 관련 서적

오이타 트리니타의 연도별 성적 및 입장자 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오이타 트리니타의 연도별 성적 일람#연도별 입장자 수 문서를 참조하면 된다.

참조

[1] 웹사이트 Listing in Stadium DB https://stadiumdb.co[...] 2024-11-11
[2] 웹사이트 クラブ・選手名鑑 大分トリニータ http://www.jleague.j[...] J.League 2017-02-08
[3] 웹사이트 J.League News No.40 http://www.j-league.[...] J.League 2012-11-24
[4] 웹사이트 Indecision over Chamusca can only worsen Oita's plight http://www.japantime[...] Japan Times 2009-07-09
[5] 웹사이트 A yellow card for J.League http://www.japantime[...] Japan Times 2009-12-12
[6] 웹사이트 Trinita slip past JEF United to earn promotion to first division http://www.japantime[...] Japan Times 2012-11-24
[7] 웹사이트 Machida promoted to J2 http://www.jleague.j[...] J. League 2015-12-08
[8] 웹사이트 選手・スタッフ一覧 https://www.oita-tri[...]
[9] 웹사이트 プロフィール:大分トリニータ http://www.jleague.j[...] 2018-03-21
[10] 웹사이트 会社概要 http://www.oita-trin[...] 2014-04-01
[11] 보도자료 株式会社大分フットボールクラブ 代表取締役榎徹氏就任のお知らせ https://www.oita-tri[...] 大分トリニータ 2016-01-20
[12] 웹사이트 2017年度(平成29年度)Jクラブ個別情報開示資料 https://www.jleague.[...] 2018-08-07
[13] 문서 厳密にはイタリア語ではアクセント記号をつけてtrinitàと綴る。
[14] 뉴스 【スポーツマーケNEO】TKP 大分でエンタメ創る/J1大分の筆頭株主に 日経MJ 2019-06-26
[15] 보도자료 2004大分トリニータチームスローガンのお知らせ https://www.jleague.[...] 大分トリニータ 2004-02-02
[16] 웹사이트 【Jリーグ】泥沼にあえぐ大分トリニータ 昨季ナビスコ杯王者の指揮官・シャムスカが解任されてしまうのか? https://www.jsports.[...] J SPORTS 2009-05-07
[17] 보도자료 大分トリニータ 2006年 スローガン決定のお知らせ https://www.jleague.[...] 大分トリニータ 2006-02-01
[18] 보도자료 大分トリニータ2007シーズン クラブスローガン決定のお知らせ https://www.jleague.[...] 大分トリニータ 2007-01-29
[19] 보도자료 大分トリニータ「2009年 チームスローガン」について https://www.jleague.[...] 大分トリニータ 2009-01-30
[20] 웹사이트 ナビスコ杯"カメナチオ"の勝利、大分・森重「一番いいときのサッカーができた」 https://web.gekisaka[...] 講談社 2008-11-01
[21] 웹사이트 Jリーグ、記憶に残る5チーム。別れの天皇杯制覇、大震災にも負けず・・・心揺さぶるクラブは? 【編集部フォーカス】 https://www.football[...] フットボールチャンネル 2018-11-28
[22] 보도자료 ネットワンシステムズ、Jリーグ 「大分トリニータ」 とユニフォームスポンサー契約を継続 https://www.netone.c[...] ネットワンシステムズ
[23] 보도자료 2012年大分トリニータ スローガン・新体制決定のお知らせ https://www.jleague.[...] 大分トリニータ 2012-01-10
[24] 뉴스 J2大分 J借入金3億円完済 1部昇格の条件満たす http://www.nishinipp[...] 2012-10-13
[25] 보도자료 大分トリニータ 2013シーズン チームスローガン決定のお知らせ https://www.jleague.[...] 大分トリニータ 2013-01-09
[26] 뉴스 【トリニータ】2勝…否めぬ戦力差 http://www.oita-pres[...] 大分合同新聞 2013-12-08
[27] 뉴스 史上初の屈辱…大分、ホーム0勝 劣悪ピッチで地の利なし https://www.sponichi[...] SponichiAnnex 2013-12-01
[28] 문서 なお、リーグ戦ホームゲーム未勝利と勝点14は翌年の徳島も記録した。
[29] 보도자료 2014シーズン チームスローガン決定のお知らせ https://www.jleague.[...] 大分トリニータ 2014-01-19
[30] 뉴스 【トリニータ】「戦い抜く」新体制発表 https://www.oita-pre[...] 大分合同新聞 2014-01-20
[31] 웹사이트 2014FIFAワールドカップブラジル SAMURAI BLUE(日本代表)FIFA登録30名およびトレーニングパートナー http://www.jfa.jp/ne[...] 公益財団法人日本サッカー協会 2014-05-13
[32] 웹사이트 「2014 FIFA ワールドカップブラジル」日本代表トレーニングパートナー 坂井大将選手 帯同期間延長のお知らせ http://www.oita-trin[...] 大分トリニータ公式サイト 2014-06-07
[33] 보도자료 大分トリニータ 2015シーズン チームスローガンおよび新体制決定のお知らせ https://www.oita-tri[...] 大分トリニータ 2015-01-14
[34] 웹사이트 【大分】成績不振で田坂監督を解任。決意の5年目に訪れた崩壊の理由とは? https://www.soccerdi[...] サッカーダイジェスト 2015-06-04
[35] 웹사이트 大分トリニータ、J3降格の背景…歯車の狂いがもたらした悲劇 https://www.soccer-k[...] サッカーキング 2015-12-07
[36] 뉴스 町田が入れ替え戦連勝で4年ぶりJ2復帰!!大分はJ1経験クラブで初のJ3降格 http://web.gekisaka.[...] 2015-12-06
[37] 보도자료 大分トリニータ 2016シーズン チームスローガンおよび新体制決定のお知らせ https://www.oita-tri[...] 大分トリニータ 2016-01-21
[38] 문서 過去には前チーム名「大分トリニティ」に在籍した皇甫官が監督経験がある。
[39] 웹사이트 染矢一樹選手 契約解除のお知らせ http://www.oita-trin[...] 大分トリニータ 2016-04-01
[40] 웹사이트 【コラム】屈辱を乗り越えてJ3制覇の大分…片野坂監督に求められた相反する二つのタスクとは https://www.soccer-k[...] サッカーキング 2016-11-21
[41] 보도자료 高松大樹選手 現役引退のお知らせ https://www.oita-tri[...] 大分トリニータ 2016-11-08
[42] 문서 翌年ギラヴァンツ北九州に更新される。観衆14,935人。
[43] 문서 以前の最多は2015年長野の94,665(1試合平均4,733)人。大分の記録は2019年シーズン終了現在でもJ3最多記録。
[44] 보도자료 大分トリニータ 2017シーズン チームスローガン及び新体制決定のお知らせ https://www.oita-tri[...] 大分トリニータ 2017-01-13
[45] 웹사이트 片野坂知宏監督「泣きはしなかったが泣きたいくらいうれしかった」 http://www.oita-trin[...] 大分トリニータ 2017-11-20
[46] 보도자료 大分トリニータ 2018シーズン チームスローガン及び新体制決定のお知らせ https://www.oita-tri[...] 大分トリニータ 2018-01-12
[47] 문서 移籍元の名古屋に復帰せず、ナショナルリーグ (韓国)・FC木浦に完全移籍。
[48] 문서 後任のキャプテンは馬場賢治。
[49] 웹사이트 最終戦で手に入れたJ1昇格 快進撃を続けてきたトリニータの足跡をたどる(2ページ目) https://os-oita.com/[...] 大分合同新聞、テレビ大分 2018-11-17
[50] 문서 同節で首位・松本が引き分けた為、この試合を勝利していれば大分が優勝であった。
[51] 문서 大分:+25、横浜FC:+19、町田:+18
[52] 뉴스 大分、J3経験チームでは初となるJ1昇格。6年間で3カテゴリーを“往復” https://www.football[...] 2018-11-17
[53] 뉴스 トリニータJ1復帰 http://www.oita-pres[...] 2018-11-17
[54] 문서 この時は厳密には5人が達成。但し同年は51試合制で最終節での達成であった。
[55] 웹사이트 J2大分 馬場、三平、藤本、後藤 最強の4人ぶっちゃけトーク https://www.nishinip[...] 西日本新聞社 2018-11-18
[56] 보도자료 大分トリニータ 2019シーズン チームスローガン及び新体制決定のお知らせ https://www.oita-tri[...] 大分トリニータ 2019-01-08
[57] 웹사이트 積極的な補強で前線の強化に成功。J1残留へのビジョンを探る https://os-oita.com/[...] テレビ大分、大分合同新聞 2019-01-11
[58] 웹사이트 ニッカン担当記者J1順位予想 降格筆頭候補は…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19-02-22
[59] 웹사이트 5人の識者が渾身の大予想。今シーズンの「J1全順位」はこうなる https://sportiva.shu[...] 集英社 2019-02-21
[60] 웹사이트 J1受賞者 大分トリニータ FW10藤本 憲明 https://www.jleague.[...] 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2019-04-11
[61] 웹사이트 トリニータ シーズン総括 旋風巻き起こし9位で終了(1ページ目) https://os-oita.com/[...] テレビ大分、大分合同新聞 2019-12-11
[62] 문서 但し、ACL参加クラブの後日消化分を反映させた場合は鹿島に抜かれ5位。
[63] 웹사이트 トリニータ シーズン総括 旋風巻き起こし9位で終了(2ページ目) https://os-oita.com/[...] テレビ大分、大分合同新聞 2019-12-11
[64] 문서 名称がヤマザキナビスコカップからルヴァンカップへ変更されてからは初参加。
[65] 보도자료 2020シーズン スローガンおよび新体制決定について https://www.oita-tri[...] 大分トリニータ 2020-01-10
[66] 웹사이트 2020明治安田生命J1リーグ 順位表 【第34節】 https://data.j-leagu[...] J.League Data Site 2020-12-19
[67] 웹사이트 トリニータ 今シーズン総括 一丸となって危機を脱したが、再度攻撃面のテコ入れが必要 https://os-oita.com/[...] テレビ大分、大分合同新聞 2020-12-27
[68] 보도자료 天皇杯 JFA 第100回全日本サッカー選手権大会 大会方式について http://www.jfa.jp/ne[...] 日本サッカー協会 2020-06-18
[69] 보도자료 大分トリニータ 2021シーズン スローガンおよび新体制決定について https://www.oita-tri[...] 大分トリニータ 2021-01-17
[70] 보도자료 エンリケ トレヴィザン選手 チームに合流のお知らせ https://www.oita-tri[...] 大分トリニータ 2021-04-14
[71] 보도자료 ペレイラ選手 チームに合流のお知らせ https://www.oita-tri[...] 大分トリニータ 2021-04-20
[72] 웹사이트 ガンバ大阪、クラスター拡大 3月の残り3試合も中止に https://www.asahi.co[...] 朝日新聞社 2021-03-10
[73] 웹사이트 大分トリニータ3度目のJ2降格、主力流出響く https://web.archive.[...] 西日本新聞社 2021-11-20
[74] 웹사이트 トリニータ 新戦力を加え後半戦スタート 苦しい状況に変わりはないが下位脱出の糸口は見えつつある https://os-oita.com/[...] テレビ大分、大分合同新聞社 2021-08-08
[75] 웹사이트 J2降格大分が声明「主力選手の移籍など…」来季ACL出場権狙う鹿島相手に善戦も… https://football-tri[...] FOOTBALL TRIBE 2021-11-21
[76] 보도자료 片野坂 知宏監督 退任のお知らせ https://www.oita-tri[...] 大分フットボールクラブ 2021-11-26
[77] 웹사이트 トリニータ片野坂監督退任会見「本当に幸せ。躍動するチームに」6年間の軌跡 https://www.fnn.jp/a[...] FNNオンライン 2021-12-20
[78] 보도자료 大分トリニータ 2022シーズン スローガンおよび新体制決定について https://www.oita-tri[...] 大分フットボールクラブ 2022-01-20
[79] 웹사이트 大分トリニータ 下平隆宏監督の下、新戦力を加え「挑戦」のシーズンが始まった https://os-oita.com/[...] テレビ大分、大分合同新聞 2022-01-22
[80] 웹사이트 【回顧2022】大分トリニータ 下平隆宏監督大いに語る J1復帰目指して 今考えていること https://newsdig.tbs.[...] 大分放送 2022-12-16
[81] 웹사이트 大分トリニータ インスタグラム公式アカウント投稿より https://www.instagra[...] 大分トリニータ 2023-01-08
[82] 웹사이트 J2 大分トリニータの運営会社新社長に小澤正風氏が就任 https://www3.nhk.or.[...] 日本放送協会 2023-01-17
[83] 웹사이트 【トップチーム】片野坂知宏氏 監督就任のお知らせ https://www.oita-tri[...] 2023-11-30
[84] 문서 1月9日に引退を発表。
[85] 문서 2011年は同シーズンのJ2参加クラブが20クラブであった為、「J2 Exciting 20」として表彰。
[86] 웹사이트 MYアウォーズ 結果発表 https://www.jleague.[...] Jリーグ 2017-12-31
[87] 웹사이트 問題企業の“パス回し”に翻弄された大分トリニータ http://business.nikk[...] 日経BP 2009-11-25
[88] 뉴스 県に2億円支援 大分FC経営諮問委「21日までに必要」 http://www.oita-pres[...] 2005-09-15
[89] 뉴스 かつてのスポンサー 小室哲哉 大分J1復帰に喜び「名試合だった」 https://www.sponichi[...] 2012-11-23
[90] 웹사이트 大分トリニータ スペシャルスポンサー「株式会社マルハン」とのスポンサー契約について http://www.jsgoal.jp[...] 2009-09-14
[91] 뉴스 【トリニータ】 マルハン完全撤退 http://www.oita-pres[...] 大分合同新聞 2009-09-14
[92] 뉴스 マルハン スポンサー撤退へ 大分に合計約13億円支援 http://www.nishinipp[...] 西日本新聞 2009-09-15
[93] 뉴스 大分、スポンサー撤退でさらに経営難に https://web.archive.[...] 報知新聞 2009-11-11
[94] 뉴스 【トリニータ】新たな挑戦 30人体制に http://www.oita-pres[...] 大分合同新聞 2009-01-31
[95] 간행물 2008年度Jリーグ公開資料 http://www.j-league.[...]
[96] 뉴스 【トリニータ】「運営費7-8億円不足」 http://www.oita-pres[...] 大分合同新聞 2009-11-17
[97] 웹사이트 Jリーグ「公式試合安定開催基金」借入申請について http://www.oita-trin[...] 大分トリニータ 2009-11-11
[98] 뉴스 【Jリーグ】大分が運営費不足で融資を申請、J1では初 https://megalodon.jp[...] MSN産経ニュース 2009-11-11
[99] 뉴스 【トリニータ】3億5千万円融資 http://www.oita-pres[...] 大分合同新聞 2009-11-17
[100] 뉴스 「新しい発展のため、けじめ」 J1大分溝畑社長辞任 http://www.nishinipp[...] 西日本新聞 2009-11-21
[101] 뉴스 J大分 溝畑社長・皇甫副社長ら辞任 http://kyushu.yomiur[...] 読売新聞 2009-12-13
[102] 뉴스 大分へ追加融資見送り J理事会「再建計画不十分」 http://kyushu.yomiur[...] 読売新聞 2009-12-15
[103] 뉴스 大分FCへつなぎ1.5億円 地場金融融資 http://www.oita-pres[...] 大分合同新聞 2009-12-25
[104] 뉴스 【トリニータ】「県民会議」が発足 http://www.oita-pres[...] 大分合同新聞 2009-12-13
[105] 뉴스 大分トリニータ 市長「J1復帰へ資金集め」 http://www.nikkei.co[...] 日経ネット九州版 2009-12-15
[106] 뉴스 再出発、よみがえれ!トリニータ(8) http://www.oita-pres[...] 大分合同新聞 2009-12-15
[107] 뉴스 Jリーグ、トリニータに追加融資を決定 http://www.oita-pres[...] 大分合同新聞 2010-01-20
[108] 뉴스 東京Vと異例の文書締結 https://web.archive.[...] 報知新聞 2010-02-16
[109] 뉴스 J2大分、本拠ドーム使用料を今季も免除 経営難で http://www.asahi.com[...] 朝日新聞 2012-02-21
[110] 뉴스 再出発、よみがえれ!トリニータ (11) http://www.oita-pres[...] 大分合同新聞 2009-12-18
[111] 뉴스 【トリニータ】債務超過6億円増 http://www.oita-pres[...] 大分合同新聞 2010-04-28
[112] 뉴스 大分商議所 大分FC株の取得で筆頭株主に http://www.oita-pres[...] 大分合同新聞 2010-05-14
[113] 뉴스 トリニータ株を大分商議所取得 経営再建へ 筆頭株主に http://www.nishinipp[...] 西日本スポーツ 2010-05-14
[114] 뉴스 Jリーグが大分の株主変更を了承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10-05-18
[115] 뉴스 【トリニータ】胸スポンサーにダイハツ九州 http://www.oita-pres[...] 大分合同新聞 2011-01-11
[116] 웹사이트 財団法人大分県文化スポーツ振興財団理事会での貸付承認に伴う、株式会社大分フットボールクラブ代表取締役 青野浩志のコメント http://www.jsgoal.jp[...] J's GOAL 2010-11-17
[117] 뉴스 大分 期日ギリギリに2億円返済 昇格へ「前倒しで返済できるように」 https://www.sponichi[...] スポーツニッポン 2012-01-31
[118] 뉴스 J2大分、募金1億円到達 J1昇格目指す http://www.sanspo.co[...] SANSPO.COM(サンスポ) 2012-08-17
[119] 뉴스 【トリニータ】昇格へ経営面クリア http://www.oita-pres[...] 大分合同新聞 2012-10-13
[120] 보도자료 TKP、大分フットボールクラブと資本業務提携を締結し、筆頭株主に ~スポーツを通じて大分県の地域活性化を支援~ https://www.kashikai[...] ティーケーピー 2019-06-24
[121] 뉴스 TKP、J1大分の筆頭株主に エンタメ拠点、大分で提供 https://www.nikkei.c[...] 2019-07-09
[122] 뉴스 大分FC再建にめど TKPと九州乳業が筆頭株主の見通し https://www.oita-pre[...] 2019-06-22
[123] 뉴스 大分)J1大分経営再建にめど ファンド株買い戻し終了 https://www.asahi.co[...] 2019-07-01
[124] 보도자료 クラウドファンディング第3弾 『#大分トリニータ 一致団結プロジェクト』 ~みんなの想いをピッチへ~ ご支援サイトURL公開及びご支援御礼品決定のお知らせ https://www.oita-tri[...] 大分トリニータ 2021-04-06
[125] 보도자료 クラウドファンディング第3弾『大分トリニータ一致団結プロジェクト~みんなの想いをピッチへ~』ご支援最終結果のお知らせ https://www.oita-tri[...] 大分トリニータ 2021-05-21
[126] 보도자료 【大分トリニータ一致団結プロジェクト】ロゴ 掲出位置についてのご報告 https://www.oita-tri[...] 大分トリニータ 2021-05-14
[127] 보도자료 【お知らせ】Jリーグクラブ初のマーケティング子会社「株式会社トリニータマーケティング」設立のお知らせ https://www.oita-tri[...] 大分フットボールクラブ 2019-12-03
[128] 보도자료 【お知らせ】子会社の解散及び清算について https://www.oita-tri[...] 大分フットボールクラブ 2020-10-29
[129] 보도자료 天皇杯全日本サッカー選手権大会 大会形式等の変更について http://www.jfa.jp/ne[...] 日本サッカー協会 2014-11-13
[130] 간행물 JFA プリンスリーグ U‐18九州 2011 得点ランキング http://output.simsee[...] 高円宮杯サッカーリーグ プリンスリーグ九州 2011-12-11
[131] 간행물 JFA プリンスリーグ U‐18九州 2010 アシストランキング http://output.simsee[...] 高円宮杯U-18サッカーリーグ プリンスリーグ九州 2010-07-10
[132] 문서 천황배 경기 사용 정보
[133] 뉴스 9月の2試合 大分市営陸上競技場で ラグビーW杯の代替 https://www.oita-pre[...] 2019-01-24
[134] 보도자료 2019年シーズン ユニフォームデザインのお知らせ https://www.oita-tri[...] 大分トリニータ 2019-01-09
[135] 보도자료 2024シーズンユニフォームデザインのお知らせ https://www.oita-tri[...] 大分トリニータ 2024-02-07
[136] 문서 옛 프론텍사 다이어트 보충제 브랜드명
[137] 웹사이트 芸術の秋。スタジアムに花開く芸術”コレオグラフィー”をご紹介! https://www.jleague.[...] 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2017-09-04
[138] 웹사이트 勝ちにいった結果、終了間際にカウンターで失点。痛恨の黒星 https://www.oita-tri[...] 大分トリニータ 2018-09-02
[139] 웹사이트 珍事!大分監督、守備放棄でやらせゴール指示/復刻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17-03-09
[140] 웹사이트 大分トリニータ 後半戦巻き返しプロジェクト「リベンジ16」について https://www.jleague.[...] 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2007-08-03
[141] 웹사이트 「リベンジ16」8月15日大分vs清水 ホームゲームイベント開催のお知らせ https://www.jleague.[...] 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2007-08-08
[142] 웹사이트 【リベンジ16】8月18日(土)J1第21節 vsサンフレッチェ広島戦(アウェイゲーム) パブリックビューイング開催のお知らせ https://www.jleague.[...] 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2007-08-14
[143] 웹사이트 「リベンジ16」9月2日大分トリニータvsヴァンフォーレ甲府ホームゲームイベント開催のお知らせ https://www.jleague.[...] 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2007-08-29
[144] 웹사이트 大分トリニータ vs 横浜F・マリノス 「リベンジマッチ」 選手・フロントスタッフ他 試合告知ビラ・ポスター4月22日配布のお知らせ https://www.jleague.[...] 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2008-04-20
[145] 웹사이트 大分トリニータ20周年記念企画および特設Webサイト開設のお知らせ https://www.jleague.[...] 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2014-04-26
[146] 웹사이트 6月21日(土)J2第19節 vs 愛媛FC戦「20周年記念試合、大分県民DAY」スタジアムイベントのお知らせ https://www.jleague.[...] 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2014-06-13
[147] 웹사이트 “ガラガラ声”大分指揮官に急展開…のど飴企業とクラブを繋いだサポーター奇譚 http://web.gekisaka.[...] 株式会社講談社 2018-08-28
[148] 웹사이트 片野坂知宏監督の喉を守れ! サポーターのTwitterをきっかけとした大分と浅田飴の縁、その行方やいかに http://blogola.jp/p/[...] 株式会社スクワッド 2018-08-24
[149] 웹사이트 片野坂知宏監督【囲み取材おまけ】「浅田飴、もう手放せなくなりました」 http://www.oita-trin[...] 株式会社大分フットボールクラブ 2018-08-26
[150] 웹사이트 【PHOTO日記】浅田飴の堀内社長が片野坂監督に会いに来た! https://www.oita-tri[...] 株式会社大分フットボールクラブ 2018-09-15
[151] 보도자료 浅田飴×大分トリニータコラボ製品 「戦うのどに浅田飴」発売のお知らせ https://www.oita-tri[...] 大分トリニータ 2019-02-25
[152] 방송 「地域密着で大都市のビッククラブに立ち向かえ! ~キャリア官僚を捨てた名物社長の挑戦~」 https://www.tv-tokyo[...] テレビ東京 2008-12-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